베트남Vietnam
국가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언어
베트남어
통화
베트남 동(VND)
수도
하노이
최대 도시
호찌민 시
국가
형태 사회주의 공화국
정치 체제
사회주의 단원제(베트남 공산당 1당 체제)
국기
빨간색 바탕에 노란색 별이 그려져 있어 금성홍기 라고 한다. 붉은색은 혁명의 피를 상징하고 노란색 별의 5각은 사, 농, 공, 상 병으로 대표되는 인민의 단결을 상징한다.
인종
낀족이 전체 인구의 86%로86% 다수를 차지한다. 소수민족은 54개 종족으로 다양하지만 인구는 많지 않다. 대부분 북부 산악 지역에서 생활하는 산악 민족들로 따이족, 타이족, 므엉족, 몽족, 눙족이 대표적이다.
종교
불교와 유교, 도교가 융합한 문화·관습이 전반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불교 신자가 가장 많고 가톨릭을 믿는 사람도 9%나 된다.
베트남 역사
베트남 최초의 부족 국가는 홍방 왕조로 여겨진다.. 베트남 건국의 아버지로 추앙받은 홍브엉에 의해 건립되었으면 진시황이 중국 진나라를 건설하면서 영토를 확장하자 베트남 북동부에 있던 어우비엣족이 남하하면서 홍방 왕조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나라를 건설했다. 국왕이 된 안즈엉브엉은 꼬로아(오늘날의 하노이에서 북쪽)에 수도를 건설했으나 얼마 못가 찌에우다 군대에게 함락되었다. 찌에우다는 초대 국왕인 부브엉이 되었으며 5명의 왕을 배출했으나 중국 한나라에게 멸망했다.
중국의 지배
중국 한나라가 남비엣을 정벌하며 오랜 중국 지배가 시작되었다. 중국으로부터 일시적인 독립은 쯩 자매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광무제가 3만 명의 병력을 보내 베트남을 다시 복속시킨다. 당나라 때에도 안남도호부를 설치해 베트남을 통치했다.
참파왕국
오늘날의 베트남 중남부 지방에 들어섰던 힌두교 국가이다. 한자와 유교, 불교를 믿었던 베트남과는 전혀 다른 문화와 종교를 갖고 있었던 왕국이다. 중국보다는 인도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던 왕국으로 해상 교역을 통해 부를 축적했다. 후에, 다낭, 냐짱 무이네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걸쳐 오랫동안 번영을 누렸다. 주변 국가인 크메르 제국과의 오랜 패권 싸움에서 패배 세력이 약화되었고 1471년 레 왕조의 레탄똥 황제에 의해 참파 왕국의 마지막 수도였던 비자야(오늘날의 뀌년)가 정복당한다.
응오 왕조
중국 당나라가 망하고 5대 10국으로 분열되는 동안 중국 남방을 통치하던 남한으로부터 독립을 세운 베트남의 봉건 왕조이다. 응오 왕조는 응오 꾸옌을 시작으로 다섯 명의 왕이 교체되면서 28년 만에 멸망했다.
딘 왕조
나라가 분열되어 있던 혼란한 정국을 딘보린이 통일하면서 딘 왕조를 창시했다. 오늘날 닌빈과 인접한 호아르에 수도를 정했으며 딘보린의 막내아들에게 왕권을 계승했으나 왕조의 역사는 오래가지 못했다.
전기 레 왕조
딘 왕조의 장군 출신인 레호안이 설립했다. 어린 나이에 황제에 오른 딘 왕조의 2대 황제를 폐위하고 레 왕조의 초대 황제인 레다이한이 되었다. 호아르를 수도로 삼았으며 송나라 군대의 침략을 막아냈지만 아들들의 왕권 계승 다툼과 폭정으로 쇠락의 길을 걸었다. 레러이 장군이 건설한 후기 레 왕조와 구분하기 위해 전기 레 왕조라 부른다
리 왕조
베트남이 리씨 왕조이다. 리 왕조를 창시한 리꽁우언은 초대 황제인 리타이또가 되었으며 집권 1년 만에 탕롱(오늘날의 하노이)로 천도해 국가의 기틀을 마련했다. 리 왕조는 216년간 9명의 황제를 배출하며 국가를 안정적으로 통치했다. 2대 황제인 리타이동은 국호를 다이비엣으로 바꾼다. 다이비엣은 응우옌 왕조에 의해 베트남으로 개명된 1804년까지 국호로 쓰였다. 이는 리 왕조가 북부 베트남에 기반을 둔 베트남 역사의 근간을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쩐 왕조
리 왕조 후반기에 황제 집안과 쩐씨 집안의 딸이 결혼하면서 득세하기 시작했다. 1225년 쩐씨 집안이 권력을 장악해 쩐 왕조를 열었다. 국호와 수도는 그대로 유지하면 전대 왕조의 체계를 유지했다. 13명의 황제가 175년간 통치했으며 이 기간 베트남 문자가 완성되었고 베트남의 역사를 기록한 다이비엣쓰끼(대월사기)도 편찬했다.
호 왕조
쩐 왕조에서 호 왕조로 교체되면서 탕롱(하노이) 남쪽의 탄호아로 수도를 이전했다. 당시 중국 명나라 영락제가 통치하면 시절로 베트남의 혼란을 틈타 군대를 파견해 베트남을 정벌했으며 호 왕조가 7년 만에 멸망하고 중국의 4번째 베트남 지배가 시작되었다.
후기 레 왕조
레러이 장군이 명나라를 물리치고 1427년 독립을 이루며 후기 레 왕조를 건설했다. 후기 레 왕조 중반기에 무관이었던 막당중이 군사 쿠데타를 통해 레 왕조를 폐위하고 스스로 황제의 자리에 오르면서 막 왕조를 열었다. 하지만 찐 가문과 응우옌 가문이 힘을 모아 레 왕조를 다시 옹립했다. 이후 후기 레 왕조를 1788년까지 이어졌지만 실질적인 권력은 응우옌 가문과 찐 가문이 나눠 갖고 있었다.
찐 가문과 응우옌 가문의 대립과 분할 통치
1592년 막 왕조를 축출하고 수도(하노이)로 복귀해 레 왕조가 재건되었지만 실질적인 권력은 군사력을 바탕으로 한 찐 가문과 응우옌 가문이 가지고 있었다. 황제만 레씨 가문에서 배출됐을 뿐 찐 가문은 북부 지방을 장악했고 응우옌 가문은 중남부 지방을 장악했다. 두 권력은 끊임없이 대립했으나 어느 한쪽이 승리를 거두지 못하고 휴전 협정을 맺는다. 이로써 100년간 남북이 서로 다른 집안에 의해 통치되었다. 찐 가문이 실권을 장악한 북부는 레 왕조가 1788년 멸망하기까지 360년간 명맥을 유지했는데 베트남 역사에서 가장 길었던 왕조이다. 응우옌 가문은 남하정책을 지속해 사이공(오늘날 호찌민시)에 최초로 베트남 사람을 정착시켰다.
떠이썬 왕조
떠이썬은 오늘날의 베트남 중부 지방인 빈딘으로 성씨가 아닌 지역 이름을 따서 만든 유일한 왕조이다. 당시 베트남은 북부와 중남부로 분할해 통치하고 있었는데 어수선한 국가 상황으로 농민들의 반란이 빈번하게 발생했고 떠이썬 지방의 민중 봉기는 응우옌(당시 권력을 갖고 있던 응우옌 가문과는 아무 상관없다) 3형제가 중심이 되었다. 1771년 민중의 지지를 받아 시작된 떠이썬 운동은 중남부 지방을 통치하면 응우옌 가문을 무너뜨리고 북부의 찐 가문과 후기 레 왕조마저 무너뜨리고 떠이썬 왕조를 창시한다. 떠이썬 왕조는 남북을 통일했을 뿐만 아니라 베트남 역사상 최초로 민중 봉기를 성공시켜 만들어진 왕조이다. 꽝쭝 황제가 응우옌 가문의 생존자인 응우옌푹안을 제거하기 위해 준비하다가 날씨 때문에 공격을 늦추고 있었는데 응우옌푹안이 살아남아 응우옌 왕조를 건설하며 황제가 되었다. 꽝쭝 황제가 요절하자 응우옌 은 베트남의 봉건 왕조가 재건되었다.
응우옌 왕조
싸얌(오늘날의 태국)으로 피신해 있던 응우옌푹안은 프랑스 성직자와 프랑스 군대의 도움을 받아 떠이썬 왕조가 동낀(오늘의 하노이)으로 권력 기반을 옮기면서 베트남 남부에 공백이 생긴 틈을 노려 반격을 했다. 꽝쭝 황제가 갑자기 사망하면서 1802년 베트남 전역을 통일하고 자롱 황제가 되면서 응우옌 왕조를 열었다. 1945년까지 13명의 황제를 배출하였다.
프랑스 식민지
자롱 황제를 도왔던 프랑스는 동아시아 진출에 대한 야심을 보이며 베트남 식민지배를 가시화하기 시작했다. 응우옌 왕조는 쇄국 정책과 가톨릭 선교사들의 활동을 금하며 유교에 기반을 둔 봉건 왕정을 유지하려 노력했지만 1858년에 프랑스 해군이 다낭을 점령했고 그다음 해에는 자딘(사이공)을 점령하며 식민 지배를 시작했다. 응우옌 왕조 4대 황제 뜨득 시절 프랑스와 베트남의 불평등 조약이 체결되어 프랑스는 남부 베트남 3개 성을 통치하게 된다. 1887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가 설립되었다. 응우옌 왕조의 황제들은 프랑스의 지배를 받는 인도차이나 연방의 하나인 안남의 꼭두각시로 전락하게 되었다. 프랑스에 반기를 들었던 응우옌 황제들이 폐위되거나 망명하는 시련을 겪었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는 1893년에 라오스까지 합병하며 오늘날의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를 통치했다.
일본의 베트남 점령, 8월 혁명과 베트남의 독립
제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지배는 약화된다. 이 틈을 노려 일본은 중일전쟁을 빌미로 베트남에 주둔하고 응우옌 왕조는 일본의 도움을 받아 프랑스로부터 독립을 모색한다. 일본이 프랑스 식민 지배를 종식시키고 베트남을 지배한 것도 잠시 1945년 8월 일본이 연합군에 항복하면서 패전국이 된다. 일본을 등에 업고 황제의 신분을 유지하던 바오다이 황제는 호찌민이 주도한 8혁 혁명에 의해 후에(훼) 황국에서 퇴위했다. 이로써 베트남 봉건 왕조는 역사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호찌민은 하노이의 바딘 광장에서 1945년 베트남의 독립을 선포하며 베트남 민주공화 주석에 오른다.
인도차이나 전쟁
소련과 중국의 공산화 이후 동남아시아까지 공산화되는 것을 원치 않았던 미국과 베트남을 재 지배하려던 프랑스의 욕구가 맞물리면서 베트남 현대사의 기나긴 고난이 시작된다. 동남아시아 최초로 사회주의 정권이 들어서자 일본 군대의 무장 해제를 빌미 삼아 연합군이 베트남에 주둔한다. 북쪽은 장제스가 이끄는 중국 국민당이, 남쪽에는 영국군이 주둔한다. 하지만 이것은 프랑스 군대가 베트남에 올 때까지 임시 조치였을 뿐이다. 당시 베트남은 소련과 중국은 비엣민이 이끄는 베트남 민주공화국을 국가로 인정했고 미국과 영국은 프랑스가 지원하는 바오다이를 국가수반으로 둔 남부 베트남만을 국가로 인정하고 있었다. 소련과 중국 공산당의 지원을 받던 비엣민과 아프리카의 프랑스 식민지에서 군대를 파병해 전력을 보강하고 미국이 도움을 받은 프랑스 군대가 8년에 거쳐 인도차이나 전쟁을 치른다. 1953년 디엔비엔푸에서 벌어졌던 전투에서 프랑스 군대가 패전하며 인도차이나 지배의 종지부를 찍었다. 디엔비엔푸 전투는 유럽 식민지배 국가에 맞서 피지배 국가가 승리한 최초의 전쟁으로 기록되고 있다.
제네바 협정과 남북 분단
프랑스가 패전국이 되었는데도 1954년 진행된 제네바 협정에 의해 베트남을 일시적으로 분할하기로 결정한다. 북부 베트남(베트남 민주공화국)과 친서방 정권인 남부 베트남(베트남국)으로 분리되었지만 남부 베트남에서는 응오딘지엠 정권의 독재와 불교 탄압이 심해지면서 정부에 저항하는 무장 투쟁이 본격화되었다. 1960년 결성된 남베트남 민족 해방전선이 남부 베트남에서 세력을 확장하고 응오딘지엠 대통령은 군사 쿠데타로 실각해 처형되었다.
베트남 전쟁과 베트남의 통일
북부 베트남과 비엣꽁에 의해 베트남이 공산화되는 것을 꺼렸던 미군은 1964년 전쟁을 공식화했다. 1965년 미군이 북부 베트남을 폭격하며 2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발발한다. 한국군 참전, 구정 대공세, 남베트남 임시 혁명 정부 수립, 호찌민 주석 서거, 프랑스 파리에서 휴전협정 조안과 미군의 철수까지 일련의 과정을 거쳐 북베트남의 총공세로 다낭이 함락되었고 마지막으로 사이공이 함락되면서 베트남이 통일된다.
베트남 통일과 사회주의 공화국
1975년 사이공이 함락되고 1976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베트남 공산당이 통치하는 사회주의 국가로 공산당 서기장인 레주언이 초대 국가원수를 지냈다. 1986년 제6차 공산당 전당대회를 기점으로 개방과 쇄신을 골자로 한 ‘도이 머이’정책을 추진하기로 결정하고 캄보디아에서 베트남 군대가 철수하고 중국과의 국교를 정상화했다. 1994년 미국이 베트남의 경제 봉쇄 조치를 해제했고 1995년 베트남-미국 수교하면서 적대 관계를 청산했다. 2007년 WTO에 가입하며 150번째 회원국이 되었다.
'알고 떠나자 > 베트남Vietna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다의 계림 하롱베이Ha Long Bay (0) | 2022.12.27 |
---|---|
호수의 도시 하노이Hanoi (0) | 2022.12.21 |
동양의 파리 호찌민(사이공)Ho Chi Minh (0) | 2022.12.15 |
댓글